my rig

Zenith Trans Oceanic Royal D7000Y Shortwave Radio

hl1kfb 2009. 2. 4. 21:15

 

 

 

 

 

 

 

 

 

 

 

매년 새롭고 반짝거리는 모습을 한 수신기들이 수없이 시장에 등장한다.
수많은 손잡이, 다이얼, 그리고 스위치, 버튼을 보고 너무 흥분하지말라!
그 새로운 장난감은 당신에게 깊은 인상을 주고, 무척이나 프로페셔널
해보일 것이며, 붙어있는 상표만으로도 사람의 마음을 뒤흔든다.

  과연 이 신제품이 당신이 이미 소유하고있는 기기보다 훨씬
더 나은 성능을 가지고있을까? 내가 단파대에서 이룩한 멋진 DX 수신의
대부분은 단순한 기능만 가진 낡은 수신기로 달성하였다. 그렇다,
적당한 크기의 다이얼과, 잘 알려진 기본 회로와 부품으로 제조되고,
아날로그식 주파수 표시 장치를 가진 라디오로도 충분하였다.
왜그럴까? 나는 이 수신기를 오랜동안 써왔다. 1997년 현재 30년된
이 수신기(BRAUN T1000)는 아직도 유능하고 믿음직한 현역이다.

  우리들중 많은 사람들이 세계 단파라디오 시장에서의 상품 제조,
판매, 그리고 소비행태 등등 영업활동에 대한 약간의  상식을
이해하고 있으면 좋겠다.

  단파라디오 시장에서는 몇몇  재미난 점이 있다.

1. 신제품 수신기는 특정 제조사가 새 스타일, 그리고 새로운
   유행을 인지하자마자 등장한다. 그러면 다른 제조사들도
   즉시 그들의 "새 디자인" 제품을 뒤따라 발매해댄다.

2. 신제품안에 실제로 담겨있는 주요 회로는 보통 20년 이상
   변하지 않은 것이 대부분이다. 새로운 악세서리 기능이
   첨가되거나, 오래된 부품을 새로 개발된 부품으로 교체하여도
   기본 성능은 거의 변화가 없다.

3. 흔히 새로 교체되어 사용된 부품은 지난번 제품에 있던
   오래된 부품보다 생산 단가가 싸기 때문에 채용된다.
   예를 들면 주파수를 나타내는 LCD 부품은 오래전에
   사용된 실과 눈금 다이얼, 표시바늘보다 가격과 제조
   공정상의 비용이 덜 들어서 채용되는 수가 많다.
   
4. 새로 등장한 디지탈식 수신기중 상당수는 성능이
   더 우수하기 때문이 아니라, 제조하기 수월하고,
   부품 값이 더 저렴하며, 생산 라인에서 사람이
   직접손으로 끈질기고 조심스럽게 하나하나
   조정할 필요가 없기때문에 이 형태로 설계-제조된다.

5. 제조업체는 사회에 공헌하기 위해 물건을 만드는 것이 아니다.
   그들의 목표는 더 빨리 더 많이 돈을 버는 것이다.


300 달러 미만의 가격이 붙은 단파라디오들은 대부분
현존하는 몇몇 제품의 복제품이거나 과거 히트쳤던 제품을
리바이벌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런 제품이라도 일반적인
상황에서 적당한 동작을 한다. 그러나 값싼 단파라디오를
구입할 경우, 아래와 같은 사항을 고려하기 바란다.

A. 우리는 현재 태양 흑점활동의 활성기에 있다. 향후
   2-3년간 수신 상태는 썩 좋아질 가능성이 많다. 그러나
   대부분의 값싼 단파라디오들은 이런 강한 신호 환경을
   견뎌내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간단한 외부 안테나만으로도
   과입력 상태가 되어 수신 기능이 제한될 것이다. 이왕
   투자한다면 약간의 달러를 더 투입할 것을 바란다.

B. 단파방송에 관한 어떤 소식을 듣더라도 그 출처를 신중히
   고려하기 바란다. 새로운 미디어( 케이블 TV, 비디오,
   컴퓨터 통신, 디지탈 라디오, 위성 방송 등등)들이
   도입된다 하더라도 단파대 방송 - 통신에는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단파를 송출하는 송신소의 숫자는 서서히
   증가해 왔으며 향후 50년동안에도 이 추세는 계속될 것이다.
   왜 그럴까? 단파방송은 강한 정치적 영향력과 선전성을 가진
   매체이기 때문이다. 방송의 대부분은 지구촌에서 주도권을
   쥐지못한 나라, 민족들을 향해 발사되고있다. 단파 방송의
   대부분은 서방세계의 풍족한 취미 청취자들을 목표로 한 것이
   아니다.

C. 수십년에 걸쳐 강대국이 가난한 나라에게 제공한 수많은
   기금과 원조 금액중 일부는 최우선적으로 단파 송신소를
   건설하는데 투입되었다. 이제 이들 가난한 나라들이
   강대국을 향해 자신들의 [정치적인 시각과 의견]을
   전세계에 쏟아낼 차례다. 그러므로 흥미롭게 그들이
   무슨 이야기를 하는지 귀 기울여 들어보자. 상당히
   흥미로운 내용들이 있을 것이다.
   (그러나 값싼 단파라디오는 강대국의 방송만 들릴것이다.)
 

  지난 20년간의 기술적인 발전을 감안하여 나는 단파라디오
제작회사에 다음과 같은 제안을 해본다.

1. 솔직하라. 새로운 눈속임 꺼리가 고안되었다고 금방
   이를 이용한 신제품 단파라디오를 시장에 내놓지 말라.

2. 인쇄매체를 통하여 발표되는 [스펙]은 표준 공업
   시험법에 입각해서 발표하라. 자기 회사 제품의
   성능을 돋보이게 하려고 업체 나름의 측정법이나
   단위를 사용하지 마라.

3. 업체들이 공동으로 표준적인 수신기 - 컴퓨터간
   인터페이스 규격을 도출하라.

4. AM 방송의 수신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동기검파
   방식을 도입하라.

5. 자기 회사의 제품을 구입한 소비자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라, 그리고 피드백을 통해 품질을 개선해달라.

6. 메모리 용량을 늘리는 경향에 관해 심사숙고하라.
   특정 메모리의내용을 기억하기위해 종이에 따로 각 메모리
   채널의 내용을 요약해두어야만 한다면 쓸데없는 기능이 되고만다.
   메모리 채널에 입력된 내용을 보여주는 지능적인 디스플레이에
   대한 궁리가 필요하다.

7. 튜닝, 볼륨, 그리고 RF gain 손잡이는 슬라이드식보다
   로타리식으로 돌리게하는 것이 좋을것이다.

8. 고주파 증폭 초단은 주파수에 따라 세분하라.
   단파라디오에서의 성능은 대부분 이곳에
   투자한 만큼 차이를 낸다.

9. 양보다 질을 우선하라. 

 

'my rig' 카테고리의 다른 글

1891년산 에디슨축음기  (0) 2009.02.05
비행기에도 등이있다.  (0) 2009.02.05
Rollei 35S... 조금 특별한  (0) 2009.01.30
동으로 버너만 만들지 않습니다. ㅋㅋㅋ  (0) 2009.01.27
paillard-bolex made in switzerland   (0) 2009.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