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0년대 해외원정용 무전기(한국산악회 희말라야 원정대사용 무전기) |
산악회 활동을 하면서 조금은 보탬이 되고자 글을 올려 봅니다. 정규산악회로 커가는 하나산악회에 앞으로 많은 소조직들이 만들어 지리라 예상합니다. 통상적으로 산악회는 운영, 지원, 수송, 회계, 통신, 의료... 등 조직의 세분화를 통해서 산악회의 효율을 극대화 시킵니다. 가끔 끄적끄적이라는 소회란에 무선관련글을 올리다 보니 아마추어무선이 산악 활동과 무슨 관계가 있을까 의문이 드시는 분들을 위하여 소개와 해명의 글을 올림니다. 여러 조직중에 통신은 산악활동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 하는 관계로 대부분의 조직화된 산악회나 원정대에 필수 적으로 들어가 있는 조직 입니다. 필요성는 밑에 글을 참조 하시면 도움이 되시리라 생각 됩니다.
|
ITU(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에서 제정된 국제전기통신협약(Radio Regulation; RR) 및 |
|
|
아마추어무선을 [Amateur Radio], [Ham Radio] 또는 [햄(HAM)]이라고 하며, 아마추어무선을 통하여 아마추어무선이란 과학적인 취미 활동이다. 그래서 일정한 시험 절차를 거쳐 국가로부터 자격증을 획득한 개인 또는 단체가 적법한 기준의 무선설비를 갖추어 놓고, 같은 취미를 가진 세계인들과 전신(모오스) 혹은 음성 등을 통하여 자유롭게 통신을 함으로써, 실험 연구 개척하는 활등을 말한다. 그래서 무선통신이나 무선기술에 흥미를 가진 [햄(HAM)]이라고 부르고 있는 아마추어무선사들은 자기 집의 사용 언어는 주로 영어가 공통 언어로 쓰이고 있지만, 대상 국가에 따라 그 나랏말을 사용하기도 하는데, 우리들 아마추어무선사, 즉 햄은 눈에 보이지 않는 전파를 통하여 동서(東西)로는 아프리카에서 미주 지역까지, 남북(南北)으로는 남극에서 북극까지, 학생, 직장인, 주부, 할아버지, 할머니를 가릴 것 없이 이들 모두가 모든 아마추어무선사는 언제나 눈에 보이지 않는 전파를 통하여 서로의 우정을 나누고, 무선 기술에 관한 새로운 정보와 지식을 주고받으며, 천재지변이나 국가 비상시에는 스스로의 기술과 장비로써 위급함을 알리고, 이를 구하는데 앞장서고 있다. |
|
|
1. 마르코니(Guglielmo Marconi 1874∼1937) 그 후 대서양을 사이에 둔 송 수신은 1901년 12월 12일 [콘월주(州) 폴듀]와 [뉴펀들란드]의 [세인트 존즈] 마르코니는 그 밖에도 단일 안테나에 의한 동조식(同調式) 및 다중 전신동조의 방식(1901), 자기 검파기 1909년 [K. F. 브라운]과 공동으로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하였으며, 또한 1919년에는 파리 평화회의의 이태리 2. 무선통신의 발명 G2HA 라는 무선국을 운용하는 영국의 [맥슨]씨는 1899년부터 아마추어무선을 시작하였다고 하니, 이렇게 하여 시작된 아마추어무선은 이태리에서 영국으로, 다시 대서양을 건너 미국으로 퍼지기 시작하였지만, 그 당시만 해도 무선통신이란 발명된 지 얼마 되지 않았기 때문에, 사회적으로는 별로 이용되지 못하였고 그저 아마추어들의 흥미로운 연구의 대상일 뿐이었다. 모든 상업무선 통신보다 앞서서 시작된 아마추어무선의 초기에는 그 호출부호도 제멋대로 부여하였으며, 또한 이런 식으로 십여 년이 흘렀다. 그 동안 좀 더 능률적인 통신이 가능하도록 열심히 연구를 거듭한 햄들과 학자들의 힘으로 무선통신은 차차 실용성을 띠게 되었고 상업국이 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진공관도 없이 수 kW의 거대한 발전기를 돌려가며 불꽃방전을 시켜 통신을 하던 초기의 무선통신에는 파장이 수백 미터 내지 수천 미터나 되는 장파(長波)를 쓰고 있었다. 당시의 이론으로는 단파(短波)란 겨우 옆집정도나 통화할 수 있을 것으로 알고 있었으며, 단파라야 원거리 통신이 된다는 오늘날의 상식과는 동떨어진 이론이 통용되고 있었다. 이와 같은 장파를 사용하면서 무선국의 수가 하나 둘씩 늘어가자 무선국 상호간의 혼신이 일어나기 시작하였다. 3. 세계 최초의 전파법 그 후 단파대에서 미국 햄들의 피땀어린 실험이 시작되었으며, 결국 단파대를 이용한 통신의 통달거리는 곳곳에서 신기록이 수립되었다. 4. 미국아마추어무선연맹(ARRL)의 탄생 1919년 세계대전이 끝나자 군대에서 더욱 더 기술을 연마한 햄들은 전쟁 후에 방출된 많은 무선통신기의 재료들을 가지고 고국으로 돌아왔다. 5. 단파대의 대서양 횡단 통신 1923년 11월 7일, 드디어 미국의 1MO(W9UZ) 와 1XAM(K6BJ; 1964. 11. 작고)은 프랑스의 8AB 2)와 6. 전리층의 발견 그 결과 여러 학자들이 연구한 끝에 드디어 [케네리]와 [헤비사이드]에 의하여 [케네리-헤비사이드층]이라고 부르는 전리층(電離層, 이온층)을 발견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단파통신에 대한 이론도 체계화되기 시작하였으며, 소전력(小電力)으로 원거리통신이 잘 되는 단파대로 많은 상업국들이 옮겨오기 시작하였다. 이와 같이 순전히 햄들의 손으로 개척된 단파대가 이제는 무선통신의 대명사가 되어 [무선통신]하면 [단파]라고 상식화되고 말았지만, 이것은 새로운 것에 도전하는 햄들이, 이론을 제쳐놓고 서로 도와 가며 실험으로 이룩해 놓은 빛나는 기록인 것이었다. 7. 국제아마추어무선연합(IARU)의 탄생 이렇게 전파(傳播)되던 아마추어무선은 제2차 세계대전으로 인하여 세계 각국은 아마추어무선의 활동을 중지시키고 말았으며, 대부분의 햄들은 또 다시 군으로 연구소로 불려갔다. 그리하여 많은 햄들이 국가와 민족을 위하여 그들이 평소에 연마한 기술을 봉사하고는 영원히 돌아오지 못하고 Silent Key(햄의 사망)를 기록하였다. 그러나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나자 패전국 몇 나라를 제외한 전 세계의 아마추어무선활동이 재개(再開)되었으며, 패전국의 재개는 약간 늦어져서 1948년에 독일에 이어 이탈리아 그리고 1951년에 일본이 아마추어무선의 활동을 허가함으로써 패전국의 아마추어무선 개방은 실현되었다. 그러나 전승국이었던 자유중국은 중공과의 싸움 때문에 1964년에 비로소 하나가 허가되었다. |
|
|
1. 자신의 관심 여하에 따라서 여러 방면으로 전자통신공학에 대한 지식이 늘게 되며, 2. 교신을 통하여 많은 사람과 이야기하게 됨으로써 다방면으로 친구들이 생겨서 내성적인 사람도 많은 상대와의 지속적인 대화를 통하여 외향적이며 적극적인 성격으로 전환될 수 있고, 따라서 매사에 자신감이 생긴다. 3. 궁금했던 사람들과의 만남을 통하여 신선하고 잔잔한 즐거움을 얻을 수 있고 4. 사무소나 지부 연맹 등에서의 봉사를 통하여 봉사 정신을 배우는 기회도 가질 수 있다. 5. 주부가 집에서 아이들을 돌보며, 동시에 전파를 통하여 세계를 누비는 환상적인 취미생활이며, 때로는 들과 6. 이 밖에도 외국어에 관심을 갖게되어 외국어 실력이 향상된다든지, 고령(高齡)에 집에 있는 시간이 많아지게 되어도 안방에서 무선장비와 더불어 외롭지 않을 수 있는 취미생활인 점 등 일일이 열거하기 어려울 정도로 좋은 취미이다. |
|
|
아마추어무선을 즐기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만드는 일, 실험하는 일, 말하는 것, 듣는 것, 경기하는 것 등의 여러 가지가 있으나 여기에서는 그 대표적인 몇 가지만 소개한다. 1 Local Ragchew 2 국내 또는 근거리 교신(Local QSO) 3 원거리(DX; Distance) 교신 4 어워드 헌팅(AWARD HUNTING) 5 컨테스트(CONTEST) 6 리피터(REPEATER) 교신 7 ARDF(Amateur Radio Direction Finding) 8 특수 통신(特殊 通信) 9 이동 운용(移動運用; Mobile Operation) |
발견한 자연과의 친밀함도, 산 친구와의 우정 없이는 무미 건조하다. 그곳은 신비의 왕국이며, 그곳에 들어가는 무기는 오직 의지와 애정뿐이다
--가스통 레뷔바가 산 친구와 산에대해 남긴 말입니다. |
'山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락산 119구조대 (0) | 2007.10.06 |
---|---|
ds1kyc om과 함께한 수락산 (0) | 2007.10.06 |
연인산 능선길 하산 (0) | 2007.10.04 |
연인산 웰빙 식사 (0) | 2007.10.04 |
연인산 ,우중, 야간, 비박산행 (0) | 2007.09.30 |